잇따른 대형 산불로 영남 지역이 직격탄을 맞고 있다. 3월 14일을 시작으로 사천, 산청·하동, 의성·안동, 울주, 김해 등에서 발생한 산불은 101개 이상의 건축물에 피해를 입혔다. 하지만 진짜 문제는 ‘불길’이 아니라, 반복되는 재난 앞에서도 달라지지 않는 우리의 대응 체계다.
◆ “재난은 통제의 문제가 아니라 준비의 문제”
최근 유엔재난위험경감사무국(UNDRR)은 2025년 전망 보고서를 통해 “기후위기로 인한 대형 자연재난은 이제 불규칙한 변수가 아닌, 예측 가능한 일상 사건이 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존 카스틴 미국 MIT 도시재난관리학 교수는 지난 3월 ‘내셔널지오그래픽’과의 인터뷰에서 이렇게 말했다.
“Disaster response is no longer about crisis control, but about systemic readiness. Manuals must become habits.”
(재난 대응은 이제 위기 통제의 문제가 아니라, 체계적 준비의 문제다. 매뉴얼은 습관이 되어야 한다.)
이는 단순한 교훈이 아니다. 실제 유럽 주요국은 이미 법제화된 재난 행동지침을 학교 교육과 연계하거나, 주기적 시민 모의훈련을 통해 실천 가능하게 만들고 있다.
◆ 국내 대응 현실은?
우리나라 역시 산림청과 행정안전부를 중심으로 ‘스마트산림재난’ 앱 등 디지털 기반의 대응체계를 마련하고 있다. 앱을 통해 산불 신고와 대피 요령, 재해 후 행동 지침 등을 제공하며, 정보 전달 방식도 점점 개선되고 있다.
그러나 정작 많은 국민이 해당 앱의 존재조차 모르거나, 설치만 해두고 실제로 사용하는 법은 모르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마치 ‘화재 시 대피로’ 안내판처럼 늘 존재하지만, 위기 상황에서 반사적으로 움직이지 못하는 상황과 같다.
◆ 매뉴얼은 ‘앱’이 아니라 ‘습관’이어야 한다
재난대응 매뉴얼은 종이책자나 앱 속에 갇힌 문서가 아니라, 일상 속에 자연스럽게 스며든 행동 규칙이어야 한다. 산불을 예로 들면, 불씨 발견 시 신고 절차(‘스마트산림재난’ 앱 사용법), 대피 경로 숙지, 마을 단위의 비상 연락 체계 등이 지역사회에 ‘체화’되어야 한다.
기후재난 시대, ‘매뉴얼은 곧 생존법’이다. 정부의 시스템 구축도 중요하지만, 그보다 더 중요한 건 국민 스스로의 ‘습관화된 대응력’이다. 이번 영남 산불이 남긴 교훈은 분명하다. 재난 대응은 선택이 아니라, 이제는 삶의 기본 기술이 되어야 한다는 사실이다.
'전국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22회 용산국제아트페스티벌, 4월 8일 개막…지역 예술인 한자리에 (0) | 2025.03.28 |
---|---|
[인터뷰]요가캄 이원경 모델 '단편영화 공터'로 연기 인생 열다 (0) | 2025.03.28 |
광주시 '안전한국훈련' 전국 1위…대통령 표창 (0) | 2025.03.23 |
군산시공무원노조-전북공무원노조, 군산시 공무원 폭행 사건 성명 (0) | 2025.03.23 |
전남도, '청년 취업자 주거비 지원' 신청자 모집 (0) | 2025.03.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