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반응형

    미국 식품의약국(FDA) 1세대 비만 치료제인 리라글루타이드의 제네릭 품목을 최초로 승인
    미국 식품의약국(FDA) 1세대 비만 치료제인 리라글루타이드의 제네릭 품목을 최초로 승인=더이에스지뉴스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1세대 비만 치료제인 리라글루타이드의 제네릭 품목을 최초로 승인했다. 이 제네릭 품목은 영국 히크마 파마슈티컬스가 개발한 빅토자의 복제약으로, 올 연말까지 미국 전역에 출시될 예정이다. 이는 10세 이상 제2형 당뇨병 환자 치료제인 빅토자의 제네릭 품목을 23일(현지 시각) 허가한 결과이다.

    같은 성분으로 개발된 비만 치료제인 삭센다 역시 곧 FDA의 제네릭 승인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리라글루타이드는 GLP-1 유사 펩타이드로, 혈당 조절과 식욕 억제를 도와 체중 감량에 효과적이다. 2010년 당뇨병 치료제 빅토자로 출시된 후, 2014년에는 비만 치료제 삭센다로 출시되었다. 덴마크 노보 노디스크가 개발한 세마글루타이드 기반의 당뇨약 오젬픽과 비만약 위고비도 각각 2017년과 2021년에 출시됐다.

    1세대 GLP-1 계열 약품은 최신 약품보다 뒤떨어지지만, 가격이 저렴하여 많은 환자들이 사용해왔다. 오젬픽과 위고비는 주 1회 주사하는 반면, 빅토자와 삭센다는 1일 1회 주사한다. 효과 역시 리라글루타이드가 세마글루타이드보다 약하지만, 가격은 월 500달러로 오젬픽·위고비의 절반 수준이다.

    리라글루타이드는 수요가 큰 약물로, 특허 만료 전인 지난해 7월에는 FDA 공급 부족 약물 목록에 올랐다. 이번 승인은 빅토자의 물질 특허가 만료된 지 약 7개월 만에 이루어진 것으로, 이는 공급 부족 문제를 해결하고 환자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조치이다.

    일룬 머피 FDA 약물평가연구센터의 제네릭 의약품 국장은 “환자 접근성을 개선하기 위해 공급 부족 목록에 오른 의약품에 대한 제네릭 의약품 신청을 우선 평가하고 있다”며 “이번 리라글루타이드의 제네릭 승인은 안전하고 효과적이며, 고품질의 제네릭 의약품에 대한 환자의 접근성을 높일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제네릭 의약품 승인은 ESG 경영의 측면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ESG 경영은 환경(Environment), 사회(Social), 지배구조(Governance)를 중시하는 경영 방식으로, 지속 가능한 성장을 목표로 한다. 제네릭 의약품은 환자들의 경제적 부담을 줄이고, 약물 접근성을 높이는 데 기여하여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노보 노디스크는 GLP-1 계열 약물의 공급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생산 시설에 투자를 아끼지 않고 있으며, 이는 ESG 경영의 일환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노력은 지속 가능한 경영과 환자의 건강을 동시에 추구하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잘 보여준다.

    이번 FDA의 리라글루타이드 제네릭 승인으로 인해 환자들의 약물 접근성이 높아지고, 경제적 부담이 줄어들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ESG 경영의 측면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가지며, 지속 가능한 의료 환경 조성에 기여할 것이다. 향후 노보 노디스크와 같은 제약사들의 지속적인 투자가 이와 같은 긍정적인 변화를 이끌어 나가길 기대한다.

    https://www.esgre100.com/news/articleView.html?idxno=912

     

    FDA, 리라글루타이드 제네릭 승인 ‥ESG 경영 차세대 비만 치료제 - 더이에스지(theesg)뉴스

    더이에스지뉴스 = 방은숙 기자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1세대 비만 치료제인 리라글루타이드의 제네릭 품목을 최초로 승인했다. 이 제네릭 품목은 영국 히크마 파마

    www.esgre100.com

     

     

    #FDA승인 #리라글루타이드 #빅토자 #제네릭의약품 #비만치료제 #ESG경영 #지속가능성 #사회적책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