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에스티(대표이사 사장 정재훈)는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뇌전증 신약 ‘세노바메이트’의 품목허가를 신청했다고 20일 밝혔다.
동아에스티는 2024년 1월 SK바이오팜과 세노바메이트 라이선스 인 계약을 체결했다. 동아에스티는 SK바이오팜으로부터 세노바메이트 국내외 30개국 공급을 위한 완제의약품(DP) 생산 기술을 이전받아 세노바메이트 30개국 허가, 판매 및 완제의약품 생산을 담당한다.
세노바메이트는 SK바이오팜이 자체 개발한 뇌전증 치료제로 뇌에 흥분성 신호를 전달하는 나트륨 채널을 차단해 신경세포의 흥분성 및 억제성 신호의 균형을 정상화한다. 다국가 임상으로 진행한 Pivotal(품목허가를 위한 임상) 임상 결과 세노바메이트를 투여받은 환자들은 발작 빈도 감소율 55%, 완전발작소실율 28%를 보이며 유의미한 효과를 입증했다. 지난해 12월 발표한 한·중·일 환자 대상 임상 3상에서도 발작 빈도 감소율과 완전발작소실율의 유의미한 개선을 확인했다.
SK바이오팜은 세노바메이트의 전신 발작 적응증 확대와 소아 및 청소년 대상의 투약 연령 확대를 위한 임상을 진행하며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뇌전증은 뇌신경세포가 과도하게 흥분되거나 억제되면 신체의 일부나 전체가 의지대로 움직이지 않고 경련성 발작을 보이거나 의식을 잃게 되는 질환이다. 뇌전증 환자의 약 30%가 기존 약물로 증상이 조절되지 않는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일부 뇌전증 환자들은 기존 약물로 발작 빈도 및 정도의 감소를 경험했으나 여전히 발작 증세가 완치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SK바이오팜은 2019년 11월 미국 FD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식품의약국)로부터 세노바메이트 시판 허가를 받았다. SK바이오팜의 미국 법인 SK라이프사이언스가 2020년 5월부터 ‘엑스코프리®(XCOPRI®)’라는 제품명으로 미국에서 판매하고 있으며, 총 누적 처방 환자 수 14만명을 넘어섰다.
≪장애인인식개선신문≫ 뇌전증 신약 ‘세노바메이트’ 품목허가 신청-동아ST,
미국에서 판매되고 있는 SK바이오팜의 뇌전증 치료제 엑스코프리. [사진=SK바이오팜] © 장애인인식개선신문(장애인인
www.dpi1004.com
'snsne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리아 어워즈 조직위 ‘제10회 KOREA AWARDS’ 시상식 개최 (0) | 2025.02.21 |
---|---|
손흥민, 사우디 이적설의 진실과 가능성: 755억 제안의 의미와 토트넘의 속내 (0) | 2025.02.21 |
돈버는퀴즈 2월1일2일 캐시워크 최근정답모음종합 (0) | 2025.02.03 |
딥시크 사용법 DeepSeek R-1 (0) | 2025.01.30 |
(소원이 이루어지는 불경) 부자되는 불경 장엄염불 나무아미타불 불법승 업장소멸 액운퇴치 잡귀박살 불교진언소원성취기도모 (0) | 2025.01.26 |